과제가 많이 밀린 관게로 블로그에 제대로 글 쓸 시간이 정말 없어지고 있네요. 오늘도 레포트에 들어갈 내용으로 대체 하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의 기본 요소중 네 가진인 라우터, 게이트웨이, 허브, 스위치 중 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알아 보았으니 오늘은 스위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스위치는 네트워크 단위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로서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개선된 것이다. 간단히 스위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스위칭 허브, 포트 스위칭 허브라고도 한다.
▲출처: 위키백과
스위치의 사용목적은 허브와 유사하다. 하지만 스위치가 훨씬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제공한다. 이것은 각 컴퓨터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가 허브처럼 다른 모든 컴퓨터에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만 전송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허브처럼 병목 현상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병목현상이란 시스템의 성능이나 용량이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인해 제한을 받는 현상을 말한다.또한 대부분의 스위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훨씬 향상된 속도를 제공한다.
▲참조: 위키백과
다시 말해서 스위치는 단어뜻 그대로를 받아들이면 이해가 쉽다.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 모든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속도가 허브에 비해 훨씬 빠르다.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스위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전이중 통신방식이란, 두 지점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전자 통신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스위치는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고유한 MAC 주소(48비트로 구성된 네트워크 주소를 뜻한다.)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며, 이 주소를 통해 어떤 데이터가 어디로 전송되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도 대량의 동보발송이나 스위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밖에 없으므로 커다란 네트워크의 경우는 VLAN 스위치(논리적으로 분할된 스위치), 라우터 등을 이용해 네트워크 자체를 분리해야 한다.
▲참조: 위키백과
'↓↓↓구 게시물↓↓↓ >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기술개론] 웹TV와 IPTV의 차이점 (6) | 2011.11.29 |
---|---|
[미디어기술개론] 공중파방송과 인터넷방송의 차이점 (2) | 2011.11.24 |
아이폰 노래 자동으로 끄기 - 기본기능 알아보기 편 (1) | 2011.11.20 |
구글 애드센스 새단장했네요. (2) | 2011.11.18 |
[현장촬영실습] 수업 사진 - 중계차를 이용한 특별 수업 편. (0) | 2011.11.17 |